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은현 / 흙에서 나온 미소

박영택

김은현은 하염없이 흙을 쳐댄다. ‘꼬박밀기’로 흙의 공기, 산소를 빼면서 손과 마음에 걸려드는 순간, 흙을 치다가 적절한 느낌 때 문득 생긴 이미지, 얼굴을 멈춰세웠다. 그것은 흙과의 충분한 교감의 산물이다. 아무것에도 집착하지 않는 마음으로 흙을 친다고나 할까, 또는 자연을 범하지 않는 경지에서 만든다고나 할까. 적당한 크기로 자신의 손아귀가 허용하고 납득하고 감당할 만큼의 양을 주무르고 만지작거려서 얼굴, 두상을 빚어놓았다. 치다가 나온 이미지, 반죽을 하고 던지다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흙의 어떤 상태, 맛에서 얼굴을 찾았다. 그리고는 자연스레 생긴 흙의 상황들이 얼굴을 받치고 좌대처럼 자리했다. 그것은 차분하고 격조있는 얼굴과는 다른 파격의 미를 안긴다. 작가는 분청토, 산청토, 잡토 그리고 옹기토 등의 다양한 흙을 사용하면서 그 흙의 맛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코일링, ‘라쿠’기법, ‘쪽가다’기법 등 여러 가지 방법론을 동원한다. 도예의 전통적 기법과 현대조각의 조형체험을 접목하고 아울러 불상과 불화이미지를 통해 가장 한국적인 얼굴을 환생하고자 한다.

흙덩어리가 얼핏 타원, 원형을 만들고 손으로 주물러댄 자취가 고스란히 흔적처럼 놓여져있는 상황위에 간단한 붓질에 의해 빠르게 스쳐지나간 자취가 눈썹과 눈, 코와 입술의 윤곽을 그려보인다. 그것은 마치 분청에서 보는 붓놀림이자 이름 없는 도공들이 옹기나 그릇의 표면에 아무렇게나 휙휙 휘갈긴 선들의 자치를 연상시킨다. 무심하면서도 더없이 세련되고 경쾌한 그 선은 흙의 물질성과 질료성을 일거에 휘발시킨다. 오로지 미소가 모든 것을 대신해 자존한다. 작가가 무심하게 그려놓은 선은 마치 무욕과 무목적성의 순연한 장식 같다. 노자는 도를 ‘아무런 가공도 하지 않은 순수 그대로의 원목인 박(樸)과 같은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장자는 예속에 구애받지 않는 품성을 천진(天眞)이라 했다. 사람들은 성장하면서 지혜가 생기고 기교를 배우며, 예속에 적응하면서 본래의 천진함을 상실해가는 과정을 겪는다고 보고 그 천진함을 보존하는 것을 진정한 도로 파악한 것이다. 도가에서 최고의 이상적 인간을 진인(眞人)이라 했는데 이 진인은 지혜와 기교가 발달하지 않은 태초의 역사를 동경하고, 예속에 물들지 않은 순박한 어린이의 경지를 추구한다. 여기서 천진이란 결국 동심을 일컫는 말이고 그 동심을 회복하는 것이 바로 도에 이르는 길이라는 것이다. 졸박한 미감과 무작위적인 세계, 동심의 세계 같은 것이 이 작가의 작업에 깊숙이 잠겨있다.
흙이라는 재료, 물성의 특성을 최대한 존중해서 이루어진 그 얼굴은 다시 불에 맞고 재를 뒤집어 쓰고 나앉았다. 가마의 불 속에서 그려진 흙의 마음이자 흙에서 걸어나온 부처의 미소 같은 것이 서려있다. 그런가하면 어린아이의 얼굴같기도 하다. 흙을 빚고 주물러 인간의 얼굴을 떠올리고 이를 뜨거운 불로 구워내 만든 이 조각, 도조는 특정한 이의 얼굴이기 이전에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누구의 얼굴도 아니지만 결국 모든 이의 얼굴로 다가온다. 더없이 무심하기도 하고 그지없이 소박하면서도 한 얼굴이 지을 수 있는 평화와 휴식, 안온과 정신적인 충만함을 온전히 드러낸다. 수식과 치장을 거둔 자리에 그저 흙이 불과 만난 응고되고 결정화된 형태에서 자연스레 배어 나오는 미소만으로도 이 얼굴은 충일하다. 미소가 수수께끼와 같다는 것은 무엇보다 미소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가하면 흙의 몸으로 성불한 듯한 이 얼굴은 삼국시대 불상의 천진하고 자연스러우면서도 신비롭고 따뜻하면서 자비로운 미소를 떠올려준다. 당시 사람들이 지닌 가장 이상적인 얼굴이자 장인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경험이 어우러져 빚어낸 힘과 생명력이 있는 얼굴이 그것이다. 그것은 작위와 무작위의 중간에서 나온 얼굴이자 소박한 마음의 행로가 읽히는, 격조를 잃지 않는 얼굴이다. 김은현은 흙이란 대상, 물질 안으로 들어가 온전히 그것과 하나가 되고자 하는 것 같다. 흙의 진면목을 깨닫는 일이다. 그것은 작가 자신이 흙이 되어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다. 사물은 인간이 포착해낼 수 있는 어떤 특질을 지니고 있는데 그 특질을 직각(直覺)하는 것이 작가의 능력일 것이다. 그것은 자신을 대상 속에 몰입시켜야 획득된다.
작가는 흙을 반죽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침투할 수 있는 공간을 차단하기 위하여 여러 차례 흙덩어리를 치댄 결과 자연스럽게 형성된 형태를 가다듬지 않고 그것에 충실하여 최소한의 얼굴 형상만 나오도록 손질을 가했다. 이 작고 아담한 크기에서 형태의 요철은 물론 중량, 양감, 질감 등이 촉각적으로 감촉된다. 표현의 절제를 통해 인위성을 최소화한 결과 형태는 단순, 소박하지만 원만한 표정을 통해 조화와 안정이란 미적 특질은 물론 종교적 차원의 여러 의미 역시 자연스럽게 고양되고 집중되어 있다. 그 얼굴이 보여주는 미소는 다소 신비스럽고 영성을 지닌 미소다. 만들어지고 조각된 것이라기 보다는 살아서 몽상에 잠긴 듯한 미소다. 대부분 길고 가는 눈이 감겨있고 마치 잠을 자는 듯, 꿈을 꾸는 듯, 몽상에 잠기거나 참선에 든 듯, 적멸의 순간인 듯, 깨달음의 정점인 듯 그렇게 멈춰있다. 그 얼굴들은 ‘명상’이란 제목을 달고 있다. 그러니까 명상에 잠긴 다양한 얼굴, 흙으로 빚은 명상이다. 작가의 얼굴은 그런면에서 마치 화두처럼 우리에게 던져져있다. 어떤 각성의 상태, 무아無我라고 표현할 수 있을 내적 인식의 상태를 보여주는 일종의 화두다. 아마도 그것은 자신의 구원과 관련된 미소일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