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승현 / 바이러스 드로잉

박영택

종이나 벽의 피부위로 미끄러지듯이 유영하는 선들은 기이한 생명체를 형성하기도 하고 문득 우리 눈에 기시감을 주는 형태를 연상시키면서 빠져나간다. 그것은 목적없는 충족적인 선의 유희, 혹은 모종의 이미지를 만들다가 지우고 다시 무언가를 연상시키다가 스러지는 이상한 유희와도 같다. 기존의 미술제작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이 그림은 흡사 생명체의 증식과 새로운 변종들이 파생되어 나가는 형국과 유사하며 “의식이 소멸하는 지점에서 임의적으로 생성되고, 이어달리기 하듯이 반복된 연상작용이 일어나면서 방향성마저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생장점을 통한 증식으로 성장” (작가노트)한다.

이승현의 드로잉은 보여주면서 스스로 지워나가고 지금까지 우리가 보지 못한 것들을 마냥 선사한다. 마음과 상상의 영역 안에서 불거지고 만들어지다가 스러지고 마는 것들이 불현듯 눈에 다가와 머물다 가는 것이다. 그것은 그림이기 이전에 작가의 몸과 의식/무의식의 흐름이자 이동, 시간, 노동의 흔적 들이다, 쓸모없는 노동을 기꺼이 즐기려는 듯, 그 선과 함께 자신의 모든 것을 의탁하고 기꺼이 그것과 함께 소진되어 나가는 여정 같기도 하다.

그 여정은 한정된 종이위에 먹과 펜으로 또는 기존의 공간 벽 위로 담쟁이처럼 피어오른다. 보는 이들 역시 그 선의 궤적을 따라간다. 그것은 중심도 주변도 없이 온통 혼돈의 상황 같은 공간, 그 미궁에 빠지는 체험이다. 한 눈에 명료하게 다가오기 보다는 가까이 혹은 멀리, 부분적으로 뜯어먹는 시선에 의해 다가오는 이상한 생명체, 징그럽고 알 수 없는 미지의 존재, 우리 눈이 판독하기 어려운 미시적인 또는 언어로 규정하기 어려운 무엇인가가 그려져 있다. 그것은 알 것 같기도 하고 모르는 것 같기도 하다.

작가의 드로잉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서양미술사를 통해 익히 알고 있는 명화이미지를 기이한 생명체의 번식으로 채우고 있는 작품(Masterpiece Virus)이다. 명화라는, 학습되고 강제된 온 이미지 안에 바이러스를 입혀 그것들이 해체되고 분열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이는 서양의 명화에 암묵적으로 스며들어있는 미술사의 권력, 불변의 이념 그리고 서양 중심적 사유에 종속된 우리의 미술문화를 은연중 풍자하고 비판하는 맥락을 지닌다. 두 번째는 미지의 생명체를 자유로이 만들어나가는 드로잉이다. 그것은 마치 동물이나 곤충, 식물의 형태를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선이 만들어나가는 온갖 종류의 자취, 이미지들이기도 하다. 그 선은 자기 탐닉적이며 나르시시즘적이고 자폐적이다. 선은 지극히 추상적인 것이다, 그 추상적인 선이 모여 노마드적으로 공간을 하염없이 채우고 떠돌아다닌다. 그것은 완결되어 있거나 독립적이라기보다는 미완의 상황성이고 비결정성이자 여전히 생성중인 순간을 안긴다. 종이 위에 혹은 벽면에 선이 그어지고 칠해지고 퍼져나가면 그 선이 자연스레 또 다른 선과 형태감을 만들어나가는 식이다. 손이 가는대로 그려놓은 하나의 흔적으로부터 발생하는 예기치 않는 사건들이 연이어 증식되고 부유한다. 그것은 마치 화면을 갉아먹고 파들어 가며 자신들의 영역을 만들어나가는 바이러스 같기도 하다. 피부에 기생하는 이 생명체는 무의식의 소산이지만 엄밀히 말해 작가의 의식 속에 내재된 여러 형상들의 혼재이며 그것들의 느닷없는 분출과 그것을 단서 삼아 다시 무언가를 연상해나가는 그리기이다. 무의식이 기반이 되어 의식적/무의식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다시 그것을 무의식의 영역으로 되돌리려는 순간순간의 단절과 이음이 끊임없이 지속되는 그런 그리기다. 그려나가는 과정에서 자신이 무엇을 그리는지 알다가도 모르는 셈이다.

“숨어있던 이미지의 파편들이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서 슬그머니 나타나서 생각지도 못한 기이한 생물의 형상으로 자라가는 것이다...의식이 소멸하는 지점에서 임의적으로 생성되고 이어달리기 하듯이 연상 작용이 거듭해서 일어나며 방향성마저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생장점을 통해 끊임없이 증식하여 가는 작업인 것이다.” - 작가노트

그는 자신의 손과 육체 아래 그 기이한, 그로테스크한 생명체를 불러들이고 이를 번식시키면서 스스로 창조자나 주술사가 된 듯한 체험을 만난다고 한다. 기존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변종을 만들어나가는 이러한 경험은 희열과 자유로움을 안기기도 하고 그것들과 함께 본인의 육체와 마음 역시 이 사회의 틀에서 벗어나, 기존 질서에 길들여지지 않는 새로운 육체와 마음의 증식과 분열을 경험하고자 한다. 그는 그림그리기를 통해, 고단하고 무모한 노동을 통해 그 같은 유희를 누린다. 그 유희와 노동에서 문득 권태와 부단히 싸우는 오늘의 미술이 떠오르고 동시에 그린다는 행위 안으로 침잠하는 몰입과 잠행만이 동시대 미술의 초상이 되고 있다는 생각도 스친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