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2023 동양미술사학회 춘계 학술대회, 국립중앙박물관

객원연구원

2023 동양미술사학회 춘계 학술대회
2023.6.17.
국립중앙박물관 제2강의실



학회 포스터


 동양미술사학회는 2023년 6월 17일 국립중앙박물관 제2강의실에서 ‘2023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매년 두 차례 개최되는 정기 학술대회인 이번 학술대회는 동양미술사학의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현장과의 긴밀한 학술교류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과 공동으로 개최되었다.


1부 사회를 진행하는 김은경(덕성여자대학교)


개회사를 진행하는 최선주 동양미술사학회 회장


1부


김하영(이화여자대학교), 월지출토 금동판불의 도상과 봉안형식의 재검토
토론: 김보민(국립문화재연구원)

김하영은 안압지 출토 금동판불상 10구를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면밀히 살펴 1, 2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금동판불 10구가 월지에서 출토된 화불과 함께 각각의 아미타정토토를 이루며 내불당 안을 장엄했을 것이라는 해석을 제시하였다.


안세진(고려대학교), 조선 전기 분청사기 향로의 종류와 가마터 출토 현황 특징
토론: 사공영애(문화재청)

안세진은 여러 문헌 자료와 유물을 바탕으로, 그동안 활발히 논의되지 못했던 조선 전기 분청사기 향로의 성격과 사용, 특징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밝혔다.


2부


이서희(서울역사박물관), 15세기 후반 아미타여래삼존상의 제작 경향과 ‘수륙재’
토론: 조태건(불교문화재연구소)

이서희는 수륙재의 유행을 통해 아미타여래삼존상이 사찰의 중요한 존격으로 자리잡는 과정에 대한 배경을 고찰하고, 15세기 유행하는 아미타-관음-지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성고운(중국 푸단대학교), 한국 출토 명대 중기 민요 자기의 편년과 유입배경
토론: 박정민(명지대학교)

성고운은 국내 유적에서 출토된 명나라 중기 민요자기의 편년을 세분하고, 지방에서 출토되는 명나라 청화백자의 분포를 확인했다. 또한 조선에서 소비된 명대 중기 자기와 하카다 상인을 연계하여 접근했다. 


정다영(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일본 젠코지 아미타삼존불상과 충남 공주 젠코지
토론: 신은영(인천도시역사관)

정다영은 일제 전시체제기 공주에 세워질 젠코지를 매개로 일본 젠코지 상과 젠코지의 역사를 1939년 이후 공주 조선에 진행될 젠코지 설립 운동과 연결하고, 1942년 공주 젠코지 창립 허가원을 지역사적 맥락에서 해석했다.


단체 사진


 이번 학술대회는 동양미술사학 분야의 학문 후속세대 양성과 연구 저변의 확대를 위해 최근 석·박사학위를 취득하거나 박사학위 과정에 있는 신진연구자들을 발표자로 선정했다고 전한다. 한중일의 동아시아 고대부터 근대까지 불교미술과 도자공예를 주제로 다양한 논의가 오갔던 학술대회였다.


정다영 d1a3ye@gmail.co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