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비평가 이일과 1970년대 AG그룹, 스페이스 21

김달진

비평가 이일과 1970년대 AG그룹
2023 5.10 - 6.24
스페이스 21 






미술평론가 이일(1932-1997)은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 현대 미술계에 평론과 비평이라는 개념을 인식시키고 자리 잡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홍익대교수, 한국미술평론가협회장을 역임했고 1993년에는 서울현대미술연구소를 개소했다. 그를 회고하는 작업은 2013년 <이일 컬렉션> 전시와 도서<이일 앤솔로지>(정연심, 김정은, 이유진 편저)를 출간하며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의 업적을 기념하고 한국 미술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이유진(유족 / 딸) 대표는 갤러리 스페이스 21을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개관했다. 그 첫 번째 전시로 1970년대 AG 그룹에서 이일과 활동한 작가 9인, 김구림, 박석원, 서승원, 심문섭, 이강소, 이승조, 이승택, 최명영, 하종현의 작품을 통하여 이일의 과업을 되짚어보는 전시를 기획하였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이유진과  정연심(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교수)은 이일이 1960년대 후반 전위적 한국미술가들과 직접 교감하고 교류하며 만든 한국아방가르드협회를 재조명하였다. 한국아방가르드협회는 ‘아방가르드(Avant-Garde)’의 약자로 AG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1969년 설립되어 1975년 공식적으로 해체되기까지 총 3번의 주요 전시와 1974년 서울 비엔날레를 진행했다. 다른 전위적 아방가르드 그룹들과는 달리, AG 그룹은 잡지를 만들어서 ‘평론가와 작가들이 함께’ 한국 현대미술의 실험성을 논하고 해외 미술과의 ‘국제적 동시성’을 찾기 시작했다.



                                   앞/ 오광수, 하종현, 박석원  뒤/ 최명영, 서승원, 이강소



앞: 오광수, 하종현, 박석원  뒤: 김노암, 서성록, 김이순, 정준모, 윤진섭, 

이강소, 최명영, 서승원, 정연심, 정경연, 황인


윤진섭, 정연심, 이유진, 김달진


5월10일 개관일에  3시경 일찍 도착했다. 미술평론가 윤진섭이 와 있었고, 정연심, 이유진을 인터뷰하였다. 미술가 중 최명영이 제일 먼저 도착했고 난 인사동으로 향했다. AG 당시의 작품과 최근작품이 전시되었지만 공간의 한계로 아쉬웠다. 정연심교수는 이 전시를 확대해 미술관에서 크게 이루어지면 좋겠다는 바램이었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AG 자료와 이일의 베니스비엔날레 귀국전에 대한 육필 원고를 대여해주었다.



                             



 이유진 대표는 '이 시기에 작가에게만 중심을 두는 전시가 아닌 한국 미술 비평의 선구자인 이일을 중심으로 하는 전시를 기획하여, 비평가의 역할에 주목하는 갤러리, 스페이스 21의 시작을 알린다. <스페이스 21>은 한국의 현대미술에 대한 아카이빙 전시, 미술 연구 저서 발간, 신진작가 발굴, 미술학도를 위한 전시를 기획하는 다양한 시도를 하는 실험적인 공간으로 운영할 것이다.' 라고 밝혔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