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 문화 사랑하고 지켜낸 박병선 박사

동아일보

재프랑스 여성 서지(書誌)학자 박병선 박사가 프랑스 파리에서 향년 88세로 타계했다. 1955년 프랑스로 유학을 떠난 그는 2009년 암 치료를 위해 10개월 동안 귀국했던 것을 제외하고는 줄곧 프랑스에 거주하면서 한국 문화를 위해 헌신했다.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사서(司書)로 근무했던 그는 1972년 이 도서관이 소장한 한국 고서(古書) ‘직지심체요절’(1377년 청주 흥덕사 인쇄)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이라는 사실을 학술적으로 입증했다. ‘직지심체요절’은 독일 구텐베르크의 ‘42행 성서’보다 무려 78년 앞선 것으로 증명돼 우리 인쇄술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렸다. 그에게는 ‘직지 대모(代母)’라는 별칭이 생겼다.

고인은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대가 강화도에서 약탈해간 외규장각 도서 297권을 1979년 프랑스 국립도서관 서고에서 발견해 한국 학계에 알림으로써 국내 반환운동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 외규장각 도서들은 프랑스와 오랜 줄다리기 협상 끝에 올해 5월 반환이 완료돼 그의 노력이 소중한 결실을 맺었다. 박 박사는 도서의 완전 반환이 아닌 영구 대여 형식에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했지만 19세기 후반 국력이 쇠약했을 때 유린당했던 우리의 문화적 자존심은 어느 정도 위안을 받았다. 그는 프랑스 외교부에서 한국 독립운동 관련 문서를 찾아내는가 하면 50년 넘게 프랑스 신문이 게재한 한국 관련 기사를 스크랩했다. 그가 수집한 한국 관련 자료는 2000상자, 1만5000쪽 분량에 이른다. 별세하기 전까지도 병인양요에 대한 새로운 저술에 힘을 쏟았다.

미혼이었던 그는 일생을 한국 문화를 사랑하고 지켜내는 데 바쳤으나 수난도 따랐다. 프랑스 국적인 그는 외규장각 도서의 존재를 한국에 알렸다는 이유로 프랑스에서 ‘반역자’라는 손가락질을 받고 국립도서관을 그만둬야 했다. 연구자로서 초창기에는 국내 학계로부터도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

그는 말년에 한국으로부터 별다른 도움 없이 프랑스 정부의 연금으로 어렵게 생활했다. 병원 치료비가 모자라 고통을 겪었다. 그럼에도 그는 “연구자로서 할 일을 한 것뿐”이라며 한국인임을 늘 자랑스러워했다. 정부는 그의 유해를 국립묘지에 안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한국 문화에 각별히 애정을 쏟은 그의 정신적 유산을 계승해 나가야 한다

-동아일보 2011.11.24
http://news.donga.com/3/all/20111124/42106264/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