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편집자에게] 예술 교육 무너뜨리는 획일적 대학 평가

앤드류 장

얼마 전 학자금 대출제한 대학평가 발표가 나자 일부 대학들은 총장이 경질되는 등 한바탕 소동이 났다. 대학평가 기준이 논문발표 숫자 대비 교수의 수와 특히 학생들의 취업률에 따라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예체능 학과가 많은 대학들은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 어쩌면 현실이다.

순수예술과 디자인 분야는 선진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장르이다. 이 분야 전공자들은 내일의 문화계를 이끌어가고, 21세기 대한민국의 역량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주역이기도 하다.

그런데 대학을 4대보험 가입을 전제로 한 취업자 수로 평가하는 것은 교육계는 물론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혼란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문화예술 교육 자체를 퇴보 또는 왜곡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예능계 학생들은 대기업에, 기업체에 취직하기보다 예술가를 지망하거나 프리랜서로서 개성 있는 자신만의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미국이나 유럽에서 미술이나 음악 등 예술분야를 별도의 전문 교육대학으로 운영하는 이유도 이들 학과의 특성이 다른 학과와는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미국에만 40개의 전문가를 배출하는 독립된 예술대학이 있다. 시사주간지 'US 뉴스 앤 월드리포트'등에선 매년 일반 대학뿐 아니라 예술대학에 대한 순위 평가를 따로 낸다. 뿐만 아니라 전공학과별로도 평가를 하여 각 학교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게 한다.

한국에서 예술학과 졸업생들이 매년 3만명씩 쏟아져 나온다고 한다. 예술대학 학생들은 취업의 문이 다른 전공에 비하여 좁기 때문에 이들을 모두 취업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미국의 경우에도 일부 대학은 학생들이 졸업 후 바로 창업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보강하는 추세이다.

뉴욕시에서는 작가들에게 작품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지던스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들에게 의료보험이 제공되거나 월급이 나가는 경우가 없으므로 취직이 되었다고 볼 수 없다. 하지만 이들은 엄청난 부가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디자이너나 예술가로 살아남기 위해 젊음을 투자한다.

교육 정책 담당자들은 각 전공분야가 갖는 특성을 고려해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 지금이라도 예술대학을 획일적인 평가 대상에서 제외시키든지, 예술대학만을 따로 평가하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국가 인력 수급의 장(場)이 왜곡될 수밖에 없다. 그 책임을 누가 질 것인가?

-조선일보 2011.9.28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9/27/2011092702542.html<- 조선일보 2011.9.28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9/27/2011092702542.html<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