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달진뉴스 2016년 3월

편집부

화랑·미술관 변화

· 1월에는 부산시 연제구 연수로에 문화공간동녘(T.070-7783-7455), 창원시 의창구 상남로의 KTX창원중앙역에 문화갤러리(T.055-292-7788)가 개관했다.

· 2월에는 서울시 중구 퇴계로에 웹툰공작소(T.070-7789-7086),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 전북도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T.063-290-6888), 세종시 다솜로 호수공원 인근에 대통령기록전시관(T.044-211-2000)이 개관했고, 서울시 종로구 효자로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T.3701-7500)의 상설전시실 2층 ‘조선의 궁궐실’과 ‘왕실의 생활실’이 재개관했다.

· 3월에는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에 문화창조아카데미(T.6441-3233)가 개관예정이며,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에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T.580-1300)이 재개관한다.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주최한 ‘큐레이터&아티스트 토크 : 아카이브를 아카이빙하다’ 프로그램이 2월 13일 오후 2시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라이브러리파크 B4 체험실4에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내용은 싱가포르 아트 아카이브 프로젝트의 연계 프로그램으로 큐레이터, 작가, 관객이 함께 예술 아카이브에 대해 이
야기했다.

· ‘한국과 호주 교류전 <문화적 대화>’가 갤러리LVS에서 2월 16일부터 3월 5일까지 열렸다. 한국 김구림, 이건용, 이승택, 서용선, 윤석남, 윤진섭 6명, 호주에서 8명 출품. 3월에 시드니 한국문화센터에서 연말에 로얄멜버른공과대학에서 개최 예정이다.

· 경기대학교는 2016년도부터 서예·한국화 분야 학교 교육 실현에 선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 2016년부터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서예·한국화 분야 예술 강사를 파견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지원법(법률 제11312호)에 따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협력하여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데, 2016년부터 ‘서예, 한국화’ 분야가 포함되었다. 이는 올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으로 2015학교문화예술교육 서예·한국화시범사업을 주관한 경기대학교(사업 책임자 장지훈, 서예 문자예술학과 교수)가 전국 25개 학교를 대상으로, 2학기 16주 동안 22명의 예술 강사를 선발·연수·파견하여 초등학교 정규 수업시간에 서예·한국화 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결과이다.

· L.A컨벤션센터 웨스트홀에서 1월 27일에서 1월 31일까지 백아트갤러리가 기획한 L.A ART FAIR ‘단색화 : 4인의 궤적’전에 이승조, 안영일, 김형대, 유병훈이 참가했고, 윤진섭 큐레이터가 초빙되었다.

· 프랑스 파리 갤러리89에서 대한민국국제포토페스티벌조직위원회(위원장 은효진)와 전시 전문 기획사 하얀나무가 추진한‘사진의 힘’전을 2월 22일부터 2월 27일까지 개최했다. 또한, 사진 전시 이외에도 한국영상제작학회 임원(차재상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이상운 남서울대 교수 등)도 참여해 비주얼 사이니지(Visual Signage)와 연계되는 카메라·IT 융합형 신기술, 사진작품 등을 소개한다.

· 서양화가 곽수는 뉴욕 준켈리갤러리에서 3월 17일부터 4월 16일까지 개인전 ‘Cosmic Light New Work’ 전을 갖는다.

· 서양화가 전광영은 홍콩의 펄램갤러리에서 3월 22일부터 4월28일까지 ‘기억의 구조물 : 재료와 메모리에 현대 접근’전에 참가한다.

· 아마도예술공간이 주최한 제3회 아마도 전시기획상은 문선아의 ‘시대정신: 非-싸이키델릭: 블루’가 최종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이 전시는 한국 미술계에서 80년대 출생 작가들의 사유와 태도를 통해 동시대에 유효한 시대정신은 무엇인가를 묻는 전시이다. 문선아는 80년대 생 작가들의 작업에서 보이는 혼성모방, 서사구조의 붕괴, 가상과 현실, 주체와 객체의 혼동 등의 경향을 이들 세대의 특징으로 삼아 기획전을 진행할 예정이며, 기획전은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된다. 또한, 제3회 아마도 사진상으로 장성은을 최종 수상자로 선정했다. 작가는 사진 작업을 통해 현실과 비현실의 풍경, 공간과 신체, 연극적인 것과 실제적인 것의 경계에 대해 탐구하며, 전시는 11월부터 12월까지 열릴 예정이다.

· 제3회 조자용문화상, 학술부문 허균(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 특별상 유정서(월간민화 편집국장) 선정.
· 2015 대한민국 미술치료 대상, 사회봉사부문 민송아 수상.
· 2016년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상, 그림책 작가 이수지 최종후보 선정.
· ‘올해의작가상 2016’전(국립현대미술관, SBS문화재단 공동개최), 작가 3인 김을, 백승우, 함경아와 믹스라이스(조지은, 양철모) 1팀 선정.
· 큐레이터 김주원은 논문 「1945년 이후 한국아방가르드미술담론연구-포스트식민 국제주의,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로 홍익대 대학원 미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구미술관 학예실장으로 임용되었다.
· 중앙데일리 문화부장 문소영은 논문 「김환기의 작품성에 나타난 동서양 ‘숭고’의 수렴-뉴욕시기 화폭의 학대와 천체 모티브확정성을 중심으로」로 홍익대 대학원 예술학과 석사학위를 받았다.
· 홍익대 이광철, 신형덕교수 등 7명이 『한국 미술산업 활성화를위한 정책연구』를 델코경영연구원에서 발간했다.

인물 동정
· 강승애, 한국여류화가협회 18대 이사장 선임.
· 김용직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관장으로 임명.
· 김형숙 서울대교수, 한국미술교육학회 회장 선임.
· 박인석 한예종교수, 13대 한국디자인학회 회장 선임.
· 박정구 큐레이터, 부산시립미술관 학예실장 임용.
· 박종민 부천시박물관 학예연구실장, 국립산악박물관장 선임.
· 배병길 도시건축연구소 대표, 30대 한국건축가협회 회장 취임.
· 양종훈 상명대교수, 14대 한국사진학회장 선임.
· 우희춘 한국화가, 9대 한국전업미술가협회 이사장 취임.
· 유재길 홍익대 교수 정년퇴임기념 논문집출간회 및 스케치전(2.25-3.2) 최정아갤러리
· 윤진섭 미술평론가, 제3회 창원조각비엔날레 총감독 선임.
· 이문열 소설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이사장 임명.
· 임히주 전 신세계미술관 고문, OCI미술관 고문 임용.
· 정영목 서울대교수, 서울대미술관장 선임.
· 정은우 동아대 고고미술학과교수, 제25대 한국미술사 학회 회장 선임.
· 제해성 아주대교수, 4대 국가건축정책위원장 임명.
· 하철경, 사단법인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회장 연임.

부고
· 김일진 원로 건축사학자, 1월 28일 별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