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학술/행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최정화, 잡화]전 연계, 예술가+생태학자+과학자의 만남, 미래의 기억 Ⅱ

  • 일시2019-06-22 15:00-17:00
  • 분야상세아트스페이스 광교 개관전 <최정화, 잡화> 연계
  • 장소수원컨벤션센터 B1 이벤트홀
  • 주최수원미술관사업소, 아트스페이스광교
  • 참가신청방법예약
  • 문의전화031-228-4105
  • 담당자명나유미 학예연구사




예술가+생태학자+과학자의 만남
미래의 기억 Ⅱ

6.22(토)
수원미술관사업소
아트스페이스 광교 이벤트홀

작가의 만남 두 번째 행사로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논의하는 자리를 개최합니다.
오는 6월 22일, 아트스페이스 광교에서 열리는 개관전 <최정화, 잡화>를 연계하여 각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연결 고리를 찾고, 함께 토론을 나누고자 합니다.
이번 만남이 전시에 참여 중인 예술가와 과학자, 생물학자, 그리고 예술에 관심이 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일반시민들과 함께하여 모두가 빛나는 자리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또한 인간의 창의적인 뇌에 대한 과학적·생태적인 해석으로 예술적 상상의 세계를 보여주는 <최정화, 잡화> 전시의 중간 점검하는 차원에서 밀도 있게 토론하고자 합니다. 

과학·생태에 대한 문화적 이해와 예술적 실천을 위한 토대를 모색해보는 자리에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 


행사개요

일  시   2019.06.22.(토) 15:00-17:00 (14:30 부터 입장)
대  상   예술에 관심 있는 시민·학생·어린이 200명
장  소   수원컨벤션센터 B1 이벤트홀

참여방법
인터넷 사전신청(http://sima.suwon.go.kr) 및 현장접수(무료)

기획의도
 - 아트스페이스 광교 전시에 참여한 최정화 작가를 통해 창작의 의미를 공유한다.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하는 비평적 담론의 장을 만든다.
 - 과학과 생태 그리고 예술에 대한 시민사회의 정보공유와 공감대 확산을 모색한다.


세부일정
  좌장 : 문소영(미술전문 기자)

1부 발제
연 사 최정화 미술가
시 간 15:00~15:30
내 용 일상과 예술, 예술과 비예술의 경계란?

2부 발제
연 사 김봉찬 더 가든 대표
시 간 15:30~16:00
내 용 생태환경 조성에 있어 창의적인 사례보고 생태환경에서 예술적으로 창작하는 방법

3부 발제
연 사 정재승 KAIST 교수
시 간 16:00~16:30
내 용 기억은 미래를 어떻게 상상하는가?

4부
종합토론 질문
시 간  16:30~17:00
사  회 : 조혜영
토  론 : 최정화, 김봉찬, 정재승, 문소영

연사소개

최정화 l 미술가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전공했고,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미술가 최정화는 생활 속 익숙한 소재들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다채로운 작업을 통해 생활과 삶, 예술의 조화와 소통, 가치를 발견한다. 동시에 현대사화와 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일상 소재에서 출발한 특유의 조형감각이 돋보이는 작품을 통하여 세계무대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미술가로 주목 받고 있다.

김봉찬 l 생태학자, 더 가든 대표
제주대학교에서 식물생태학을 전공했고, 제주 여미지식물원 과장을 거쳐 평강식물원 소장으로 일하면서 식물원 기획, 설계, 시공 및 유지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조경업체 ‘주식회사 더가든’을 설립하여 생태학을 바탕으로 한 암석원과 습지원 조성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정재승 l 카이스트 교수
KAIST에서 물리학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예일대학교 의대 정신과 연구원,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연구교수, 컬럼비아대학교 의대 정신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및 문술미래전략대학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2009년 세계경제포럼(다보스 포럼)에서 ‘차세대 글로벌 리더’로 선정되었다.

문소영 l 미술전문 기자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와 동 대학원에서 학사와 석사를 받았다. 그 후 어린 시절 첫사랑인 그림 읽기로 돌아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석사를 마치고 지금 박사 과정 중이다.
코리아중앙데일리-뉴욕타임스 문화부장으로 미술 기사를 주로 쓰며, 중앙일보에 고정 칼럼 ‘문소영의 컬처스토리’를 연재하고 있다. 성신여대 겸임교수로도 출강한다. 

유의사항

상기 세부일정은 초청 전문가 및 주관기관 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현장기록(사진 및 영상촬영)이 있습니다. 참가신청 시 이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참가자에 대한 별도의 주차요금 혜택은 없습니다.

찾아오시는 길

수원컨벤션센터 (B1 이벤트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중앙로 140 (하동)     







이전글 목록 다음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