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0

[2016.07.08] 학술·지성 단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중국 동북지역 고분 답사보고

고분문화연구회는 9일 오후 전남 나주 복암리 고분전시관에서 정기 발표회를 연다. 박한울(한신대 박물관)·김하늘(충북대 박물관)씨가 ‘고구려 고분 답사 보고’를, 정인성(영남대)씨가 ‘중국 동북지역 최신 유적 답사 보고’를 발표한다. (061)337-0090.


‘민속의 공간과 생활’ 학술대회

한국민속학회(회장 김종대)는 15일 오후 서울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민속의 공간과 생활’을 주제로 하계 학술대회를 연다. ‘현대사회에서 상례의 의례공간 변화’, ‘도시 공동체 회복을 위한 민속공간’ 등 모두 7편의 주제 발표가 이어진다. kofos.or.kr.


- 한겨레신문 2016.07.08

[2016.07.08] 배기동 교수, ICOM 아·태위원장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배기동 교수, ICOM 아·태위원장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한국위원회는 지난 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지역연합 총회에서 배기동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64·사진)가 필리핀 후보를 제치고 위원장에 당선됐다고 7일 밝혔다. 임기는 3년이다.


- 경향신문 2016.07.08


배기동(64)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가 최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아시아태평양지역연합(ASPAC) 총회에서 ASPAC 위원장에 선출됐다고 ICOM 한국위원회가 7일 밝혔다.

임기는 오는 10월부터 3년. 구석기 고고학 전문가인 배 교수는 한양대박물관장, 전곡선사박물관장,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 한국구석기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 한국일보 2016.07.08 신은별 기자

[2016.07.08] 책마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일본 도자기 여행

올해는 조선백자가 일본에서 제작된 지 400년이 되는 해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 사기장(沙器匠)들은 1616년 일본 규슈 북서부 사가현에서 백자 제작에 적합한 흙을 발견하고 그곳에 터를 잡는다. 일본 도자기 문화의 중추가 된 아리타 마을의 시작이다.

《일본 도자기 여행》은 일본 도자기에 남은 한국 문화의 자취를 담았다. 저자는 조선 사기장들이 지은 도자기 가마부터 그들의 후손이 발전시킨 전통 기법까지 두루 살핀다. 직접 곳곳을 돌아다니며 찍은 생생한 사진들을 함께 실었다. 

조선식 도자기는 일본에서 점차 현지 주류 계급 문화와 융합되면서 새로운 개성을 입는다. 반면 조선에선 도자 기술의 명맥이 끊어졌다. 19세기 중반 이후 조선 궁궐에서 아리타 백자를 사용했을 정도다. 저자는 “왜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거치며 우리 도자기는 큰 상처를 입고 단절을 겪었다”며 “일본 도자기의 혁신과 진취를 알아보고, 우리 도자산업에 대한 관심을 키울 때”라고 지적했다. (조용준 지음, 도도, 494쪽, 1만8000원) 

-한국경제 2016.07.08

[2016.07.08] [뉴스파일] DDP 7월 9일부터 ‘야간 미술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동대문의 대표 복합문화공간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는 9일부터 11월 6일까지 DDP 갤러리문에서 밤 10시까지 ‘야간 미술관’을 운영한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7 파리 스페이스 타임’ ‘SV+VS 시각의 소리화+소리의 시각화’ ‘보이는 집: 여섯 개의 방’ 등 3개의 기획전시가 한 달씩 진행된다. DDP 배움터에서 열리는 ‘내 안의 김광석展’(7월 15일∼9월 11일) ‘간송문화展 6부’(∼8월 28일) ‘백남준 쇼’(7월 21일∼10월 30일)도 매주 금·토요일에는 밤 9시까지 연장 운영한다.


- 국민일보 2016.07.08

[2016.07.07] 문화동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 서촌의 전시공간 온 그라운드에서 건축전 ‘최소의 집’이 31일까지 열린다. 올해로 6회차를 맞은 전시는 총 10회에 걸쳐 30명의 건축가가 참여할 목표로 2013년 시작했다. 건축가 세 명이 직접 설계한 최소의 집을 소개하고, 각자의 삶에 맞는 적정한 공간이 무엇인지 곱씹어 보는 장을 만든다. 02-762-9621.

- 중앙일보 2016.07.07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