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색인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인명사전

인쇄 스크랩 english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고경옥 (Ko Kyong Ok / 高敬玉) ~

  • 분야 / 현직

    큐레이터 > 인천아트플랫폼 운영위원

  • 상세분야 미술이론 및 전시기획
  • 학력

    경기대 미술학부 학사
    홍익대 대학원 예술학과 석사
    홍익대 예술학과 박사

인물약력

전시기획

2019 제6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공생도시(Symbiotic City) 안양예술공원 일대
2018 인천문화재단 2018 예술정거장 프로젝트-Undergraund on the graund 인천시청역사
2017 키네틱 아트 프로젝트-기묘한 기계들 수원미술전시관
2017 지구를 지켜라 수원어린이생태미술체험관
2015 이랜드스페이스 아티스트-NeW Sensation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2012 재료의 연금술사展 이랜드스페이스
2008 풍경-삶의 소통 공간展, 밀알미술관
2010 다섯가지 이야기展, 이랜드스페이스
2011 Artists & Bools展, 이랜드스페이스
2011 감성과 이성展, 이랜드스페이스


수상경력

2021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
2022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



행정경력

2023 인천문화재단 인천아트플랫폼 운영위원
2020 인천아트아카이브 전문연구원
2019 제6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큐레이터
2018 인천문화재단 예술정거장 프로젝트 수석큐레이터
2015-2017 수원미술전시관 책임큐레이터
2012 박물관·미술관 정학예사 3급
2008-2015 이랜드문화재단 수석큐레이터
2008-2010 쿤스트독미술연구소 연구원



출판

2023 『타자들의 삶: 큐레이터 고경옥의 세상 읽기』글누림
2023 『미학실천: 리슨투더시티 비평집』(공저) 리슨투더시티
2020 『타자들의 삶』 글누리


논문

2024 「대항의 아카이브: 1980-90년대 한국 페미니즘 미술 전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23 「타자의 귀환, 전복적 주체들: 박영숙의 《미친년 프로젝트》(1999-2005)」, 『모멘텀』 제2호
2023 「재현불가능성’의 맥락에서 본 한국전쟁 사진」, 『미술문화연구』 제23호
2023 「한국영화에 나타난 ‘주변부 여성’의 ‘실종된 인격’: <깊은밤 갑자기>(1981)를 중심으로」, 『AURA』 제50호
2022 「1990년대 현대미술에 나타난 여성 신체의 문제: 이불(Lee Bul)의 초기 퍼포먼스와 조각을 중심으로」, 『예술과 미디어』 제21권 1호
2021 「정신분석학으로 바라본 영화 <시네마 천국>: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애도와 멜랑콜리’를 중심으로」, 『미술문화연구』 제21호
2020 「공공미술의 페미니즘 실천 연구: 2000년대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문화연구』 제18호

2008 「한국의 비미술관형 전시공간 사례연구」 쿤스트독미술연구소 동계세미나 쿤스트독미술연구소
2010 「장욱진 작품연구-미술사적 위치와 작품연구사를 중심으로-」 미술창작과 비평 연구
2011 「욕망의 드러내기와 감추기를 위한 페르소나(persona)-최나리의 회화-」 미술창작과 비평 연구





소속협회

현대미술사학회
한국사진학회
예술과미디어학회
동서미술문화학회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